-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준수합니다.
- 회원은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과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, 만일 이와 같 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.
-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주민번호, 휴대폰번호, 집주소, 혈액형, 직업 등의 게시나 등록을 금지합니다.
- 안내장번호
- 서석고-2025-031
- 담당자
- 김성주
○담배의 유해성
∙ 담배는 궐련형(연초/전자), 액상형(전자) 등이 있습니다.
∙ 담배에는 수많은 해로운 화학 물질이 들어있는데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- 니코틴: 담배의 주요성분으로 각성효과 및 중독성을 일으킴. 혈관을 수축시켜 혈액 순환을 방해하며 고혈압, 심장병 등을 유발함
- 타르: 발암 물질로,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
- 일산화탄소: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가 몸에 공급되는 것을 막음. 기억력과 집중력을 떨어뜨림.
- 아세톤: 페인트, 니스, 매니큐어를 지우는 물질
- 비소: 사람을 사망을 이르게 하는 독성 물질
○청소년 흡연의 원인과 위험한 이유
∙ 청소년 흡연의 원인
- 단순 호기심
- 스트레스 해소를 위함
- 또래 집단의 영향 등
∙ 청소년 흡연의 유해성
- 미성숙한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침
- 흡연 기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심한 니코틴 중독을 겪을 수 있음
- 흡연을 시작으로 다른 유해 물질을 접하거나, 심각한 경우 범죄에 손을 댈 수도 있음
○전자담배의 유해성과 종류
∙ 전자담배에는 연초형 담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유해물질이 들어 있으며 이들은 생리학적 중독, 인체 발암, 호흡기 질병, 뇌 손상 등을 유발합니다. 액상형 전자담배의 성분 일부와 종류 둘을 살펴보겠습니다.
- 니코틴
- 카보닐화합물(포름알데히드, 아크롤레인, 아세트알데하이드, 크로톤데하이드)
- 중금속(니켈, 크로뮴, 아연, 납
- 휘발성 유기화합물(벤젠, 에틸벤젠, 톨루엔, 클로로포름)
- 첨가제(멘톨, 디아세틸, 아세토인, 에틸렌 글라이콜 등)
∙ 쥴(JUUL)
- 액상 전자담배의 일종으로 카트리지는 USB, 디바이스는 샤프심 통 정도의 크기로 다양한 맛, 적은 냄새를 가지고 있음
∙ 릴 베이퍼/릴 에이블/릴 솔리드
- 궐련형 전자담배의 일종으로 샤프심 통 또는 그와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맛과 일반 전자기기와 비슷한 외관을 가짐
○전자담배의 진실
1. 전자담배는 금연 치료제다?
⇒NO! 전자담배는 금연 치료제로서의 안전성, 효과성에 대해 입증된 바가 없습니다. 금연 치료제로서의 니코틴 보조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승인한 제품인 니코틴 패치, 껌, 캔디류만이 안전합니다.
2. 전자담배는 유해물질이 없다?
⇒NO! 국내에 유통되는 전자담배 성분 분석 결과 발암물질 및 독성화학물질이 검출되었습니다. 기존 궐련과 마찬가지로 전자담배에도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3. 금연구역에서 전자담배를 피워도 괜찮다?
⇒NO! 전자담배는 담배사업법에 따라 담배로 규정되어 있어 금연 구역에서 전자담배 흡연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 청소년의 전자담배 사용도 불법입니다.
○학교는 금연구역
학교는 학교 교사와 경계 30m 이내까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, 교직원은 물론이고 공휴일 학교시설 이용자, 학교 방문객 및 학부모 등 모두가 금연해야 하며 흡연하는 경우 1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○가정에서의 자녀 지도
∙ 연초 담배, 전자담배 모두 독성화학물질이 들어있어 몸에 해롭고, 중독성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.
∙ 연초와 전자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 등의 유해물질이 성장기에 있는 아동·청소년의 두뇌 발달을 방해하고 몸을 병들게 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.
∙ 흡연을 하시는 학부모님은 가정에서의 금연 분위기 조성 및 학생의 간접흡연을 피할 수 있도록 금연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.
○금연상담
금연길라잡이 온라인상담
https://www.nosmokeguide.go.kr
금연 상담 전화 ☎ 1544-9030
광주금연지원센터 ☎ 222-9030(동구 필문대로365, 조선대학교 병원 본관 2층)
광주광역시북구보건소 내 금연클리닉 ☎ 410-8977~9 (https://bukgu.gwangju.kr)
○마약의 종류, 부작용
∙ 마약이란?
일반적으로 느낌, 생각, 또는 행태에 변화를 줄 목적으로 섭취하여 정신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말하며 생산, 판매, 사용이 금지된 약물을 지칭
∙ 마약의 종류
마약은 총 478종(마약류 384종, 임시마약류 94종)이 있음
∙ 주요마약류
∙ 불법 신종마약: 알킬 니트라이트(일명 러쉬, 정글주스), 합성대마
∙ 마약류 중독 시 나타나는 증상: 의존성, 내성, 금단현상, 반사회성
∙ 마약류 투약에 따른 부작용
- 신경조직망 손상으로 정상적인 생활 불가
- 기억력 감퇴, 집중력·판단력 장애 발생
- 뇌·간·심장 등 신체 각 기관 손상 가능
- 환각상태에서 강도·살인 등 강력범죄 유발
○청소년 마약류 사례
펜터민(식욕억제제), 펜타닐(마약성 진통제), 콘서타(ADHD(주의력결핍 행동장애) 치료제로 의료용 마약류지만 공부 잘하는 약으로 둔갑하여 오남용) 등 의약품을 이용한 마약 투약 또는 판매 사례가 있음
○마약류 신고
마약밀수 신고(관세청) ☎ 125
마약 신고, 수사 경찰청 ☎ 112
24시 마약류 전화상담센터 ☎ 1342
치료보호기관(보건복지상담센터) ☎ 129
한국마약퇴치운동 광주본부 ☎ 384-2818